top of page
코인좌_캐릭터.png
코인 거래소 할인 링크
비트겟 가입 베너
멕시 가입 베너
바이낸스 가입 베너
후오비 글로벌 가입 베너
페어데스크 가입 베너
주멕스 가입 베너
트레이더웨건 가입 베너
바이비트 가입 베너
비트엑스 가입 베너
빌빗 가입 베너
트레이더웨건.png
무툰

노드(Node)의 의미와 종류

안녕하세요. 암호화폐 투자나 소식을 자주 접하다 보면 노드(Node)라는 단어를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텐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블록체인에 핵심 기술이자 없어선 안 되는 노드(Node)의 의미와 종류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노드를 쉽게 이해하려면 블록체인이 무엇인지 알아야 하는데요.


노드의 의미와 종류 개념정리


블록체인이란?
블록체인 정의

블록체인은 Blockchain Security technology라는 의미로 거래 내역 데이터를 블록으로 생성하고 그 블록을 체인 형태로 연결해서 수많은 서버(컴퓨터)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을 말합니다.



기존 금융 거래 시스템

좀 더 쉽게 알아보기 위해서 현재 금융 거래 시스템과 비교하여 살펴보겠습니다. 기존 금융 거래 시스템은 은행이라는 중앙화된 서버 하나의 모든 거래 내역이 저장되는데요.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B라는 사람에게 10만 원을 보냈다면, A의 계좌에서 10만 원이 빠져나가고 B의 계좌에 들어가게 됩니다. 이때 이 거래 내역이 중앙화 된 은행 서버 안에 저장이 되고, 이 정보들이 기록되면 송금이 이뤄지는 것입니다.


즉, 기존 금융 거래 시스템은 중앙화된 하나의 은행 서버에 수많은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거래가 성립되고 이 데이터들이 거래 내역의 증명이 되는 것입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하지만 하나의 서버로 중앙화된 거래 시스템은 서버가 해킹 당했을 경우, 거래가 마비되거나 데이터가 변조될 수 있기 때문에 피해를 입을 수 있는데요. 이러한 위험요소를 피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바로 블록체인 기술입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중앙 집중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 및 관리하지 않고 거래에 참여한 개개인의 서버에 기록을 분산 후 저장하여 네트워크를 관리 및 유지하는 시스템인데요.

여기서 각각의 데이터들을 저장해주는 개개인의 서버를, 노드(Node)라고 하는 것입니다.


정리하면 노드는 블록체인 시스템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전세계 수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컴퓨터나 노트북,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에서 이뤄지는 거래 기록들을 암호화하고 저장하여 네트워크를 관리해주는 개개인의 서버를 의미합니다.


이 과정에서 노드 참여자들에게 보상으로 코인을 주는 것입니다. 돈을 송금할 때 은행에서 수수료를 가져가는 것처럼 말이죠.


그리고 노드는 은행처럼 중앙 관리자가 없기 때문에 노드의 역할이 정말 중요한데요. 일부 노드가 해킹을 당해서 기존 데이터의 내용이 변질돼도 다수의 노드에 데이터가 남아있기 때문에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풀 노드(Full node)

노드의 종류는 여러 개가 있지만 크게 풀 노드와 라이트 노드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먼저, 풀 노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뤄진 모든 거래 데이터를 저장하는 노드를 말하는데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며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업테이트하고 데이터의 오류는 없는지 최종 승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쉽게 말해, 풀 노드란 블록체인의 최초 블록부터 현재 생성되는 블록까지 모든 상세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서버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라이트 노드(Light node)

반대로 라이트 노드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주요 데이터만을 요약해서 저장하는 노드를 말하는데요. 풀 노드처럼 모든 블록의 데이터 원본을 가지고 있지 않고 요약본만 보유하고 있는 노드인 것입니다.


라이트 노드는 용량이 가볍기 때문에 휴대폰처럼 한계가 있는 저장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데요. 블록체인에서 거래를 할 수 있는 지갑이나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하며 자료의 중요한 요약본만 받아서 거래를 위한 검증에 사용됩니다. 이때 최종 승인 역할을 하는 풀 노드의 검증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약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여기까지 노드의 의미와 종류들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그렇다면 이 노드라는 것은 적으면 좋을까요? 많으면 좋을까요?


노드는 당연히 많으면 많을수록 거래 속도와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그 이유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일부 노드가 해킹을 당해도 다수의 노드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와 비교하여 검증하기 때문에 노드가 많을수록 거래 속도가 빨라지고 해킹으로부터 안전해 지는 것이죠.


자, 그럼 유명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그리고 파이 코인의 노드 수와 블록이 생성되는 시간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코인 노드 수 비교
비트코인 노드 수

비트코인 노드 사이트 링크 https://bitnodes.io/


먼저, 비트코인 노드의 경우, 현재 약 14000개가 활성화 되어 있는데요. 14000개의 서버가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비트코인은 새로운 블록이 약 10분에 1개씩 생성되며 비교적 거래 속도가 느린 편입니다. 사이트에 각 나라별로 분포되어 있는 노드 분포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 노드 수

이더리움 노드 사이트 링크 https://www.ethernodes.org/


그다음 이더리움은 현재 작업 증명 방식(POW)에서 지분 증명 방식(POS)으로 업그레이드 되면서 노드의 수가 약 7200개 정도로 줄었는데요.


노드는 줄었지만 POS 방식이 환경친화적이고 거래 속도의 효율성도 좋습니다. 이더리움은 약 15초에서 20초 사이에 블록이 1개씩 생성되며 비트코인의 비해 거래 속도가 빠른 편입니다.



작업 증명 방식과 지분 증명 방식

POW와 POS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위 포스팅을 참조해 주세요.


파이코인 노드 수

파이코인 노드 사이트 링크 https://dashboard.pi-blockchain.net/


마지막으로 파이코인인데요. 파이코인은 약 5초에 1개씩 블록을 생성하는데요. 현재 비교한 코인들 중 가장 빠른 속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 파이코인의 총 노드 수는 약 61만 개이며 활성화 된 노드만 무려 11만 개 정도 됩니다.


나라별 파이코인 노드 수 비교

아래를 보면 노드가 설치되어 있는 국가의 순위와 노드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현재 1위가 중국 41,707개, 2위가 베트남 23,336개, 3위는 대한민국으로 20,786개의 노드를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파이코인은 다른 코인들의 비해 엄청난 수의 노드를 가지고 있는데요. 이 말의 의미는 전세계에서 손 꼽히는 P2P(Peer to Peer) 네트워크를 형성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블록체인의 성공 여부 또한 노드의 수와도 깊은 관련이 있는데요. 파이코인은 이미 가장 안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확보했고 5초에 1개씩 블록을 생성하는 만큼 기술력도 뛰어나다는 것을 입증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전세계 국가에 수많은 노드들이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아주 빠른 속도로 블록을 생성할 수 있고 안정성 또한 아주 높아질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블록체인의 핵심 기술인 노드(Node)의 의미와 종류들에 대해 살펴봤는데요. 노드란 무엇인지, 노드가 많을수록 무엇이 좋은지 알아가는 시간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Comments


cvsdgsg (1).jpg
핸드폰 거치대

차량용 계기판 핸드폰 거치대

코인좌 간편 복리 계산기.png
다목정 살균 세척
휴대용 건조기

스위스 밀리터리 휴대용 건조기

​코인좌 간편 복리계산기

bottom of page